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현충일] 태극기 조기 게양법·시간·묵념 사이렌까지 총정리

by 알잘딱깔센입니다 2025. 6. 4.

    [ 목차 ]

2025년 6월 6일제70회 현충일입니다.

대한민국은 매년 이 날을 맞아,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 영령들을 추모하며 국민적 예우를 표합니다.

전국적으로 추모 행사가 진행되고, 오전 10시 정각에는 1분간의 묵념 사이렌이 울려 퍼집니다.

 

이 글에서는 현충일의 의미부터 묵념 참여 방법, 그리고 태극기 조기 게양법까지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현충일이란?

 

 

 

현충일(顯忠日)은 매년 6월 6일로,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을 기리고, 그 정신을 후세에 계승하기 위해 제정된 날입니다.

 

 

처음으로 지정된 해는 1956년, 이후 매년 추념식과 묵념, 태극기 게양 등의 방식으로 전국적인 추모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이란?

☑️순국선열

나라의 자주성과 독립을 위해 희생한 조상들

 

☑️호국영령

국가를 지키기 위한 전쟁, 재난 등에서 희생된 군인과 공무원 등

 

2025년 현충일 묵념 사이렌 안내

 

 

2025년 6월 6일 오전 10시 정각, 전국에 묵념 사이렌이 1분간 울립니다.

이는 국민 전체가 동시에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께 묵념을 드리는 시간으로,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사이렌이 울릴 때 주의사항

📍사이렌 소리는 재난경보가 아닌 묵념 신호이므로, 놀라지 마세요.

📍묵념은 앉아서도, 서서도 가능하며 자신의 자리에서 조용히 1분간 경건한 마음으로 참여하시면 됩니다.

📍학교, 공공기관, 기업체, 가정, 길거리 등 모든 장소에서 묵념 참여 가능

 

묵념 참여 시 유의사항

📍운전 중일 경우, 도로 가장자리나 안전한 장소에 정차 후 묵념

📍공공장소에서는 소란이나 방해 없이 조용히 묵념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사용 자제

 

 

 

2025년 현충일 태극기 게양법

현충일은 국가 애도의 날이기 때문에, 태극기를 ‘조기’로 게양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많은 국민이 이를 실천하고 있지만, 정확한 조기 게양 방식을 잘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래에서 상황별로 올바른 태극기 조기 게양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조기란 무엇인가?

 

 

조기(弔旗, Half-mast)는 슬픔과 애도의 뜻을 담아 태극기를 깃봉 끝이 아닌 중간 이하 지점에 내려서 게양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깃대 게양과는 다르게, 태극기의 너비만큼 내려서 설치해야 합니다.

 

💡예시:

태극기의 너비가 60cm라면 → 깃봉 끝에서 60cm 아래에 깃면이 오도록 설치

 

가정에서의 태극기 조기 게양 방법

가정에서는 대문 옆이나 베란다 외벽, 창가 등에 태극기를 게양할 수 있습니다.

조기의 경우 다음 사항을 유의해 주세요.

 

 

 

대문 옆에 게양할 경우

-오른쪽에 위치하게 설치

 

 

-태극기 깃면이 깃봉에서 너비만큼 내려오도록 조정

-깃대가 없다면 고정 가능한 지지대 활용

 

베란다에 게양할 경우

-태극기가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

-창틀이나 베란다 난간에 세로 방향으로 고정

-깃대가 짧은 경우, 조기 형태로 보이도록 내려 설치

 

공공기관의 태극기 게양 방법

공공기관 및 각종 공공시설에서는 건물 정면 중앙의 깃대에 조기 형태로 게양합니다.

 

-태극기 깃면이 깃봉 끝에서 너비만큼 내려간 위치에 오도록 설치

-청결한 태극기 사용 필수, 훼손되었을 경우 즉시 교체

-조명 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야간에도 게양 가능

 

태극기 홍보책자.pdf
10.50MB

 

 

태극기 게양 시간


일반 주택

오전 7시 ~ 오후 6시 우천 시 ➡️ 실내 보관 권장


공공기관

오전 7시 ~ 오후 6시 ➡️ 조명 시설 있으면 24시간 게양 가능

 

태극기 관리 요령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가 상징이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로 관리해야 합니다.

오염 시 세탁 방법

📍손세탁 권장

📍온수보다 미온수 사용

📍표백제 금지, 부드러운 중성세제 사용

 

훼손 시 대처

📍찢어지거나 색이 바랜 경우, 즉시 새 태극기로 교체

📍폐기 시에는 국가보훈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소각 또는 반환

 

 

현충일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의미

현충일 태극기 게양은 단지 형식적인 행위가 아닙니다.

이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에 대한 깊은 존경과 감사의 표현입니다.

조기를 게양하고, 묵념에 참여하는 행동은 국민 전체가 하나 되어 역사를 기억하고 공동체의 정신을 되새기는 상징적인 실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태극기를 꼭 깃대에 달아야 하나요?
A. 깃대가 없을 경우에도 베란다 난간이나 창틀에 고정하여 게양이 가능합니다.

중요한 것은 태극기가 조기 형태로 보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Q2. 비 오는 날에도 태극기를 달아야 하나요?
A. 날씨가 좋지 않아 태극기가 훼손될 우려가 있다면, 실외 게양 대신 실내에 보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또는 베란다 안쪽에서 바깥이 보이도록 설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Q3. 태극기 구매는 어디서 가능한가요?
A. 가까운 문구점, 대형 마트,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다양한 크기의 태극기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국기규격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묵념 사이렌은 꼭 따라야 하나요?
A. 강제는 아니지만, 전 국민이 하나 되어 참여하는 추모의 시간이므로 가급적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사이렌 소리에 맞춰 1분간 마음을 모아 주시기 바랍니다.

 

Q5. 태극기 조기 게양은 어떻게 내리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A. 태극기 조기 게양 시에는 일반적으로 깃봉의 맨 위까지 태극기를 올린 뒤, 다시 태극기의 세로 길이만큼 내려서 고정합니다.

예를 들어 태극기의 세로 길이가 60cm라면, 깃봉 꼭대기에서 60cm 아래 위치에 태극기의 상단이 오도록 고정하면 됩니다.

직접 깃대 조절이 어려운 경우, 내려서 게양한 모양이 보이도록 각도 조절을 하셔도 무방합니다.

 

Q6. 아파트에서는 태극기를 어디에 게양해야 하나요?
A. 아파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베란다 외벽 또는 창틀 바깥에 태극기를 게양합니다.

외부에서 잘 보이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며, 태극기가 바람에 잘 펄럭일 수 있도록 공간 확보도 고려해야 합니다.

공동현관 등 공용공간에 게양할 경우에는 관리사무소와 협의 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Q7. 태극기를 세로로 걸 경우에도 조기 게양이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세로 게양 시에도 태극기의 윗부분이 일반적인 높이보다 내려오도록 설치하면 조기 게양의 의미를 담을 수 있습니다.

단, 태극기의 건(乾)이 왼쪽 상단에 오도록 하는 기본 규칙은 그대로 지켜야 합니다.

 

Q8. 태극기를 실내에 게양해도 괜찮은가요?
A. 실외 게양이 어려운 경우(우천, 고층 거주, 위험 등)에는 실내에 게양해도 무방합니다.

거실 창문 쪽에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걸어두거나, 가족 모두가 볼 수 있는 공간에 걸어놓는 것도 현충일을 기념하는 방법입니다.

 

Q9. 회사나 사업장에서도 태극기를 조기로 달아야 하나요?
A. 네. 일반 기업체, 사무실, 공장 등에서도 조기 게양이 권장됩니다.

특히 출입구 정면 또는 사무실 내 대표적인 장소에 태극기를 조기로 설치함으로써 직원들과 함께 애도의 뜻을 표할 수 있습니다.

 

Q10. 태극기를 오래 보관해도 될까요? 관리 요령이 궁금합니다.
A. 태극기는 직사광선을 피해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보관 시에는 깨끗이 세탁 후 충분히 건조한 뒤 접어 보관하며, 습기와 곰팡이를 방지할 수 있는 천 재질의 주머니나 종이 케이스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Q11. 현충일에는 차량에도 태극기를 달 수 있나요?
A. 차량에 태극기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안전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하며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서는 안 됩니다. 일반적으로 차량 유리창 내부에 미니 태극기를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조기 형태로 보이도록 하여 애도의 의미를 담는 것이 좋습니다.

 

Q12. 태극기 게양 시 반드시 조용히 있어야 하나요?
A. 태극기 게양 자체에 조용히 있어야 할 법적 의무는 없으나, 현충일이라는 특수성과 조기 게양의 상징성을 고려했을 때, 가능한 조용하고 경건한 분위기에서 게양 및 관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Q13. 현충일에 태극기를 깃봉 꼭대기에 달면 안 되나요?
A. 안 됩니다. 현충일은 국가 애도의 날이므로, 깃봉 꼭대기까지 태극기를 올리는 것은 예우에 맞지 않습니다.

깃봉 상단에서 일정 너비만큼 내려 설치해야 하며, 깃봉 꼭대기에 설치하는 것은 주로 국경일 등 경축일에 해당합니다.

 

Q14. 외국인이 한국에 거주 중일 때, 태극기 게양에 참여해도 될까요?
A. 물론입니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도 현충일의 취지와 의미에 공감한다면 태극기 게양 및 묵념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이 운영하는 시설에서도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통해 서로의 문화에 대한 존중과 공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제70회 현충일은 단지 공휴일이 아닙니다.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희생을 감내한 수많은 이들의 노고와 생명을 되새기는 중요한 국가기념일입니다.

 

묵념 사이렌이 울릴 때는 잠시 멈춰 서서 감사의 마음과 추모의 뜻을 전해 보세요.

리고 조기로 태극기를 게양하며, 우리 모두의 기억 속에 그들의 희생이 영원히 살아있도록 하길 바랍니다.